728x90

상가 입점 가이드/입점 가이드 - 기본 개념 15

[공인중개사가 알려주는 입점 실무 가이드 6편] 일반음식점 vs 휴게음식점 – 창업 전에 반드시 구분해야 할 인허가 기준

"여기서 김밥 팔면 일반음식점인가요, 휴게음식점인가요?"이 질문, 창업 상담할 때 열이면 아홉 나옵니다.겉으론 비슷한 가게인데, 허가냐 신고냐 갈리는 기준은 의외로 복잡합니다.오늘은 음식점 창업을 앞둔 분들이 가장 헷갈려 하는 이 구분,‘일반이냐 휴게냐’를 사례랑 조건 중심으로 풀어드릴게요.1. 이름은 비슷해도, 법적으로 전혀 다릅니다구청/보건소 처리허가 대상신고 대상대표 업종김밥집, 덮밥, 분식, 고깃집카페, 제과점, 빙수 전문점운영 목적식사 제공간식·음료·휴식 위주기준설비조리기구 있음전자레인지, 포트 정도⭐ 식사처럼 먹는 구조면 일반,⭐ 커피·빵·빙수 위주면 휴게 가능성이 높습니다.2. 일반음식점이 필요한 조건 – 이 4가지만 기억하세요주방 따로 있고 조리기구(가스, 인덕션 등) 사용테이블 여러 개,..

[공인중개사가 알려주는 입점 실무 가이드 5편] “신고업종인데도 안 된다?” – 인허가 반려 사례와 계약 전 꼭 확인할 체크리스트

“신고업종이면 그냥 접수만 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요…”현장에서 가장 자주 듣는 말입니다.특히 미용실, 네일샵, 김밥집처럼 자주 등장하는 업종일수록‘신고니까 문제 없을 거다’ 하고 계약까지 진행한 뒤에보건소에서 “이건 안 됩니다”라는 통보를 받는 경우, 실제로 꽤 많습니다.이번 편에서는 실제 반려된 사례들을 중심으로왜 안 됐는지, 계약 전에 뭘 확인했어야 했는지를현장 기준으로 아주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1. 신고업종인데도 막히는 경우, 정말 많습니다자주 나오는 업종부터 볼까요? 미용실, 네일샵, 피부관리실, 휴게음식점, 세탁소 등‘신고업종 = 무조건 개업 가능’은 아닙니다. 다음 기준 중 하나라도 안 맞으면 접수조차 안 될 수 있어요:세면대 없음 / 환기 안 됨 / 채광 부족학교 근처 (학교보건법 제..

[공인중개사가 알려주는 입점 실무 가이드 4편] 음식점·약국·병원, 신고만 하면 된다? – 헷갈리는 업종별 허가 기준 정리

“신고업종이라더니 허가 받아야 한다고요?”창업 상담하면서 진짜 많이 듣는 말입니다.특히 음식점, 약국, 병원처럼 자주 나오는 업종은처음엔 ‘신고만 하면 되겠지’ 싶다가도 막상 보건소나 구청에선“이건 허가 대상입니다”라는 말이 튀어나옵니다.이번 글에서는 업종별로 헷갈릴 수밖에 없는‘허가 vs 신고’ 기준을 실제 사례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창업 전에 꼭 체크해야 할 구분표,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1. 허가와 신고는 뭐가 다른가요?허가업종사전에 구청 또는 보건소의 허가 심사를 받아야 함일반음식점, 약국, 병원 등신청서+도면+현장 점검 필요, 시간이 걸림신고업종기준만 맞으면 신고서 접수만으로 개업 가능휴게음식점, 미용실, 피부관리실 등설비 기준만 맞으면 상대적으로 수월‼️ ‘신고’라고 해서 무조건 쉽다는 건..

[공인중개사가 알려주는 입점 실무 가이드 3편] 불법 용도변경, 걸리면 어떻게 되나요? – 실무 경고와 실제 리스크 한눈에

“카페로 그냥 해도 돼요. 다들 그렇게 하던데요?”이 말, 계약 직전에 들으면 절대 안 됩니다. 허가도 안 받고 업종을 바꾸면, 그 순간부터 ‘위반건축물’로 찍히는 겁니다.이번 편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자주 겪는 불법 용도변경 사례들과,그로 인해 발생하는 리스크를 조목조목 정리해드릴게요.1. 허가 없이 업종 바꾸면 무조건 ‘위반건축물’건물에 원래 정해진 ‘용도’가 있는데, 허가나 신고 없이 무단으로 바꾸면 바로 위반입니다.예)사무실 공간 → 음식점 (허가 없이)미용실 → 주거 공간 (신고 없이)⭐ 이렇게 변경된 경우,구청에서 현장 조사 → 위반건축물 등재건축물대장에도 ‘위반’ 이력 남음추후 매매·임대·담보설정 시 치명적2. 구청이 내리는 ‘시정명령’이란?위반 사실이 확인되면, 관할 구청은 다음과 같은 시정..

공인중개사가 알려주는 입점 실무 가이드 2편] 상가·사무실 ‘용도변경’ 신청/신고부터 건축물대장 변경까지 – 실무 핵심 한눈에!

"허가 받아야 해요, 아니면 그냥 신고면 되나요?"현장에서 정말 많이 듣는 질문입니다. 같은 공간인데도, 어떤 업종은 허가 대상이고 어떤 건 단순 신고만 하면 되거든요.오늘은 창업이나 임대 전에 꼭 확인해야 할 ‘용도변경 절차’를 실제 행정 흐름 중심으로 안내해드릴게요.1. 용도변경, 그냥 인테리어만 하면 되는 거 아니었나요?아닙니다.건축물의 '용도'를 바꾸는 건 단순한 구조 변경이 아니라, 법적으로 사용 목적 자체를 바꾸는 행위로 분류됩니다.예를 들어,사무실이던 공간에 음식점을 차린다?창고 공간을 전시장으로 쓰려 한다?이런 경우는 용도변경 허가 또는 신고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2. 허가 vs 신고 – 기준은 '시설군'건축법에서는 건축물의 용도를 9개 시설군으로 분류합니다:제1종 근린생활시설제2종 근린생..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