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개설 4

조제실 없어도 약국 개설이 될 수 있나요? – 구조 기준 총정리

서론 “조제실 없어도 약국 허가 가능하대요?” …정말일까?약국 입점 상담을 하다 보면 종종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가 있습니다.“요즘엔 조제실 없어도 약국 허가 나는 데 있다던데요?”“그냥 상담·판매 공간만 있어도 된다면서요?” 그런데 실무에서는 절대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실제로는 조제실 자체가 꼭 ‘벽으로 구획된 방’일 필요는 없지만, 조제 공간을 명확히 갖추고 있어야 인허가가 납니다.이번 글에서는 ‘조제실이 없으면 약국 허가가 날 수 있는지’를법령과 현장 기준을 토대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목차약사법 시행령에 나오는 ‘약국 시설 기준’조제실 없이 허가가 나기도 하는 구조 – 허용 요건현장에서 조제실 누락으로 불허된 사례와 주의점1. 약사법 시행령에 나오는 ‘약국 시설 기준’《약사법 시행령 제22조의2》..

병원 바로 옆인데 약국 허가가 난다고요? – 되는 구조 vs 안 되는 구조 완전 정리

서론: 병원 옆 약국…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 되는 이유?약국 입점 상담을 하다 보면 이런 말 정말 많이 듣습니다.“저기 약국도 바로 병원 옆인데 됐다면서요? 그럼 여기서도 되겠죠?” 하지만 인허가 심사에선 단순히 ‘옆 건물’이라는 위치만으로 판단하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건축구조, 동선, 대지경계, 건물 인식, 기능적 연결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같은 조건처럼 보이지만 인허가 결과가 갈리는 구조적 차이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목차‘병원 옆’이지만 되는 사례 – 실제 허가 구조 분석‘병원 옆’인데도 안 된 사례 – 불허 요건 정리중개 현장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체크포인트1. ‘병원 옆’이지만 되는 사례 – 실제 허가 구조 분석⭐ 건물 구조가 명확히 분리약국과 병원이 각각 독립된 대..

병원 안에 약국 내면 안 되는 이유 – 약사법 인허가 실무 해설

서론: “1층 약국, 2층 병원 괜찮죠?” …정말 될까요?현장에서 약사님들과 상담하다 보면“이 건물 2층에 병원 들어온대요. 1층에 약국 가능하죠?”라는 질문,정말 자주 듣습니다.겉보기엔 건물도 따로 쓰고 입구도 다르지만,보건소 인허가 심사에선 ‘공간적·기능적 독립성’이 실질적으로 확보됐는지를 따집니다. 건물, 입구, 통로, 주차장, 인식까지 모두 분리돼야‘병원 구내’가 아니라는 판단을 받게 됩니다.오늘은 실제로 *“허가가 나기도 하고, 안 나기도 하는 이 구조”*가왜 그런지 법령과 판례를 토대로 정리해보겠습니다.목차약사법 기준으로 본 ‘불허 사유’대법원 실제 사례로 보는 인허가 실패 사례실무 체크리스트: 이 구조면 불허됩니다1. 약사법 기준으로 본 ‘불허 사유’약사법 제20조 제5항은 아래 조건에 해당..

약국 개업 전 실수 막는 입점 체크리스트 – 병원 연계부터 계약 특약까지

현장에서 상담을 하다 보면 약사님들께서 "여기 괜찮은 자리인가요?"라는 질문을 많이 합니다.단순히 병원이 들어올 거라는 말만 믿고 계약을 했다가 손해를 본 사례도 많습니다.약국은 일반 상가와는 다른 특성이 있습니다. 개업에 수억 원이 들어가는 업종인 만큼, 입지를 잘못 선택하면 곧 손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약국 입점 시 확인해야 할 실전 체크리스트입니다. 단순한 상권이 아닌, 병원 연계·법령 요건·계약서 특약 세 가지 기준으로 구성했습니다. 목차입지 선정 기준 – 병원, 독점, 유동 인구를 반드시 체크『약사법』 기준 정리 – 약국 개설이 가능한 구조인지 판단하기계약 시 꼭 넣어야 할 특약 – 인허가 실패 대비 문구마무리 – 약국은 ‘입지+계약’이 전부입니다1. 입지 선정 기준병원, 독점,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