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쁜 상가라 계약했는데, 카페는 안 된다고요?”
실제로 현장에서 많이 나오는 질문이에요.
“이 건물 1층이고, 전면 유리라 인테리어도 잘 나올 것 같아서 계약했는데요.
나중에 구청에 문의하니까 카페 허가가 안 나온대요…”
이런 상황, 정말 많습니다.
문제는 딱 하나예요.
카페도 ‘음식점 허가’를 받아야 하는 업종인데,
건물마다 가능한 업종이 다르다는 걸 미리 몰랐던 거죠.
2. 카페도 종류가 나뉩니다 – 일반 vs 휴게
카페는 외형만 보면 다 비슷하죠.
근데 인허가 기준은 완전히 달라요.
조리 | 가능 (오븐, 프라이팬 사용) | 간단한 데움만 가능 |
예시 | 샌드위치, 브런치, 로스팅 | 커피, 음료, 디저트 |
설비 | 조리기구, 환기필수 | 주방 간소화 가능 |
3. 일반음식점 허가가 필요한 경우
만약 이런 걸 같이 판매할 계획이라면 일반음식점 허가 받아야 합니다.
- 샌드위치나 베이커리류 직접 조리
- 커피 외에 식사류, 브런치 구성
- 로스팅 머신, 오븐 등 열기구 사용
이럴 경우엔 주방 설비, 배기시설, 조리 공간까지 전부 갖춰야 인허가가 납니다.
4. 휴게음식점이면 충분한 경우
반대로 이런 카페는 휴게로도 가능해요.
- 단순 커피, 라떼, 디저트 중심
- 커피머신 외에 별다른 조리기구 없음
- 테이크아웃 중심, 좌석 적음
하지만,
건물 구조나 전기설비, 배기 조건이 안 맞으면
휴게도 허가가 안 나는 경우도 있어요.
5. 중개사가 계약 전에 꼭 확인하는 5가지
✔ 건축물 용도: 근린생활시설 1·2종인가요?
✔ 업종 제한: 관리규약상 허용 업종은?
✔ 주방 구조: 싱크대, 환기, 소방기구 준비 가능?
✔ 인테리어 설계: 조리 여부에 따라 구조 가능성 달라짐
✔ 기존 운영 이력: 이전 카페가 있었다면 어떤 형태였는지?
마무리|“허가 안 되는 예쁜 카페 상가, 많습니다”
예뻐 보여도, 계약 후 허가 안 나면
그 예쁜 상가가 그냥 인테리어 구경만 하게 되는 겁니다.
카페도 ‘어떤 형태로 운영할지’에 따라 허가가 다르다는 걸 꼭 기억하셔야 해요.
계약 전에 인허가 조건부터 체크하고,
가능하면 직접 중개사에게 확인 요청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 이 콘텐츠는 Urban Realty의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된 내용입니다.
실제로 카페 창업 전 허가 문제로 계약 해지까지 가는 경우도 있었어요.
꼭, 계약 전에 한번 체크해주세요!
'상가 입점 가이드 > 음식점 창업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횟집 창업, 아무데서나 안 됩니다 – 수족관, 냉장시설, 위생 구조까지 ‘그냥 식당’이 아니에요 (8) | 2025.04.15 |
---|---|
치킨집, 이 건물에서 가능한가요? 배달 전문 vs 홀 운영, 인허가 기준 달라집니다. (2) | 2025.04.14 |
분식집, 이 건물에서 정말 가능할까? – 소자본 창업자가 가장 많이 실수하는 인허가 조건 3가지 (0) | 2025.04.14 |
고깃집 창업, 이 건물에서 가능할까요? 연기·냄새·불까지 다루는 업종이라면, 계약 전에 꼭 따져보세요 (4) | 2025.04.13 |
일반음식점 창업, 이 건물에서 가능한가요? – 음식점 허가 기준과 계약 전 확인할 체크리스트 (0) | 2025.04.13 |